목록분류 전체보기 (89)
seo92iy

○ 제품을 선택한 이유 1) 화이트 색상 디자인이 인테리어와 더 잘 어울릴 것이라고 생각해서 블랙 색상인 S43DM700이 아닌 S43DM701을 선택. 2) AS 또한 중요한데 삼성의 AS는 믿을 수 있다고 판단해서 해당 제품을 선택했습니다. 불량화소는 없었습니다. 인터넷에 찾아보면 삼성 불량화소 기준 나오니까 찾아보면 될듯. ○ 제품의 특장점 1) 4K의 화면과 스마트 기능이 장점. 모니터임에도 PC 없이도 유튜브, 넷플릭스 등 OTT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. 2) 리모컨 또한 편리한데, 태양열 충전 방식이라서 건전지 교체 걱정이 없다. 3) 무선으로도 PC에 연결할 수 있어 어디에 배치해도 사용할 수 있다. 4) 삼성 모니터이므로 SmartThings를 사용해서 근처의 기기들을 활용하기 ..
HTML HTML 웹 구조 뼈대 CSS 정적 외형 JS 동적 기능
; 앞의 명령 실패해도 다음 명령 실행 & 앞의 명령 백그라운드로 돌리고 다음 명령 실행 && 앞의 명령이 성공해야 다음 명령 실행 echo $? 이전 명령어가 반환한 값을 알려주는 명령어 true -> 0 false -> 0이 아닌 값

내 public key 를 로그인하고 싶은 컴퓨터 authorized_keys에 넣어준다. ssh-keygen id_rsa -> private key id_rsa.pub -> public key id_rsa.pub 내용을 상대 authorized_keys에 복사하는 방법 ssh-copy-id aaa@192.168.0.0 장점 : rsync 할 때도 편리하다. cron을 이용해서 정기적으로 백업을 자동으로 하게 하려면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하는 과정이 sshkey로 대체되니까 자동으로 된다. RSA 과정 Client 접근 요청 -> Server 랜덤키 전송 - > Client private key로 암호화, 전송 -> Server 가지고 있는 public key로 복호화, 맞으면 접근 허용

touch test{1..10} -> 1~10까지 파일 한번에 생성 rsync -a src/ dest rsync -av src/ dest -> 상세내용 출력 test10 만 지우고 다시 실행했을 때 나오는 문구 rsync -azP ~/rsync/src/ aaa@192.168.0.0:~/rsync/dest z : 압축해서 보낸다 P : 보내는 진행 상황 보여줌. ~/ home 디렉토리

domain , DNS /etc/hosts 이렇게 google.com을 추가할 경우 localhost로 접속이 된다. client --->hosts파일-->DNS(hosts 파일에 있으면 과정 생략)--------->server DNS 서버 /etc/resolv.conf 서브 도메인 blog.naver.com news.naver.com DNS principle dig +trace google.com 해보면 여러 단계가 나온다 -> 한번에 접속하는게 아니라 여러 단계를 거쳐서 접속이 이루어 진다. DNS 는 한대가 아니다. 루트 DNS 목록 도메인 네임 서버 목록

서버 개발할 때 자주 쓰는 localhost:8080 localhost:3000 에서 8080, 3000 naver.com:80 에서 80이 포트. https://www.naver.com:80 은 접속이 안되는데 http://www.naver.com:80 은 접속이 된다. 차이점이 있을까 https://johngrib.github.io/wiki/why-http-80-https-443/ http의 기본 포트가 80, https의 기본 포트가 443인 이유는 무엇일까? 80은 처음부터 지정, 443은 나중에 요청을 받아 빈 공간으로 순서대로 배정 johngrib.github.io 특정 사이트의 포트 확인 방법 (nmap 사용) 네이버의 경우 http는 80, https는 443포트가 열려 있음을 확인할 수 ..